2025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 확정! 공제 조건·한도·달라지는 점 총정리
2025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 무엇이 어떻게 달라졌을까?
2025년에도 신용카드 소득공제 제도는 폐지되지 않고 유지됩니다.
일각에서는 폐지 가능성이 언급되었지만, 현재까지 정부와 국회 모두 해당 제도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결정했습니다.
따라서 직장인과 프리랜서 등 근로소득이 있는 이들은 올해도 해당 공제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신용카드 소득공제 기본 구조
신용카드 소득공제는 연간 총급여의 25%를 초과하여 사용한 금액에 대해 일정 비율을 공제해주는 제도입니다.
- 신용카드 사용액: 15%
- 체크카드 및 현금영수증: 30%
- 전통시장, 대중교통 등 특정 항목: 40~50%
2025년 주요 변경 사항
2025년에는 기존 제도의 연장이 확정되었으며, 일부 항목에서 공제율과 공제 한도가 조정되었습니다.
- 전통시장 및 대중교통: 공제율 50%로 상향
- 일몰 기한: 기존 2025년까지였던 공제 항목 다수 → 2030년까지 연장 추진
공제 한도는 어떻게 될까?
총급여 수준에 따라 공제 가능한 최대 금액이 다릅니다.
-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최대 300만 원
- 총급여 7천만 원 초과: 최대 250만 원
또한, 자녀 1명당 최대 50만 원의 추가 공제가 가능합니다.
자녀가 2명 이상이라면 최대 100만 원까지도 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공제 대상과 제외 항목
공제 대상에는 일반적인 소비 항목 대부분이 포함되지만, 일부 항목은 제외됩니다.
- 포함: 식비, 대중교통, 마트, 의료비, 전통시장 등
- 제외: 세금, 4대보험, 등록금, 고용보험, 해외결제 등
공제 신청은 어떻게 할까?
2026년 1~2월경 진행될 연말정산 시즌에, 국세청 홈택스에서 카드사 제공 내역을 자동 불러오기 하여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매입 내역은 카드사마다 다르므로, 홈택스에서 확인 후 누락된 항목은 수기로 추가도 가능합니다.
앞으로 주의할 점은?
일부 커뮤니티나 블로그에서는 ‘폐지된다’는 표현이 아직도 회자되고 있으나, 이는 명백한 오정보입니다.
2025년 기준으로 신용카드 공제는 유지되며, 향후 세법 개정이나 정부 정책 변화에 따라 조건이 바뀔 수 있으니, 연말에는 국세청 공지를 반드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달 카드 지출이 큰 분이라면 공제율이 높은 항목 위주로 소비처를 옮기는 것도 하나의 절세 전략입니다.
특히 대중교통, 전통시장 같은 항목은 공제율이 50%로 올라간 만큼 적극 활용해보세요.
이번 연말정산 시즌에도 알뜰하게 준비하셔서 놓치지 않고 공제받으시길 바랍니다.
출처 및 참고자료:
• 기획재정부 2025년 세법개정안
• 국세청 홈택스 공지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